HD현대건설기계, 3분기 영업 이익 558억원… 전년 대비 30% 증가
HD현대건설기계가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9547억원, 영업이익 55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광산(Mining) 장비의 수요 증가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성장과 선진 시장의 실적 개선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지역별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유럽 선진 시장이 수요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 등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유럽의 매출은 32%, 북미는 8% 상승했다. 또
기아 ‘더 기아 PV5’ 카고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
기아는 ‘더 기아 PV5(The Kia PV5, 이하 PV5)’ 카고 모델이 최대 적재중량을 싣고 1회 충전 가장 긴 주행거리인 693.38km를 달성한 전기 경상용차(eLCV, electric Light Commercial Vehicle)로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PV5 카고의 기네스 기록은 기아가 경상용차 부문에서 주행 효율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운 동시에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가다. 송호성 기아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서 자동차 안전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4일(금),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 안전 평가에서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 11개,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 1개를 포함해 총 12개 차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4일(금),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 안전 평가에서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 11개,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 1개를 포함해 총 12개 차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최다 기록이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각각 전체 2위와 7위, 제네시스는 고급 브랜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TSP+ 등급을 획득한 차량은 현대차의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코나 ▲투싼 ▲싼타페, 제네시스의 ▲GV60 ▲GV70 ▲GV70 전동화 모델 ▲GV80, 기아의 ▲EV9 ▲텔루라이드 등이다. TSP 등급에는 제네시스 G90가 선정됐다.
특히, 현대차 투싼과 제네시스 GV70·GV80은 2021년부터 5년 연속 TSP+를 획득했으며, 기아 텔루라이드는 2019년 북미 시장 출시 이후 7년 연속 TSP+ 또는 TSP에 선정됐다.
IIHS는 이번 충돌 안전 평가에서 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전면 충돌 테스트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의 여성 또는 12세 아동을 모델로 한 더미를 새롭게 배치하고, 실제 사고에서 뒷좌석 승객이 입을 수 있는 부상을 반영해 평가 방식을 보완했다. 또한, 올해부터는 TSP+를 획득하기 위해 전면 충돌 평가에서 ‘훌륭함(good)’ 등급을, TSP 등급을 위해서는 최소 ‘양호함(acceptable)’ 등급을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전방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front) ▲측면 충돌(updated side)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획득해야 하며, ▲주·야간 전방 충돌방지 시스템 테스트(차량과 보행자) ▲전조등 평가에서도 일정 기준 이상의 등급을 충족해야 한다.
IIHS 데이비드 하키 회장은 “이번에 선정된 차량들은 앞좌석뿐만 아니라 뒷좌석에서도 뛰어난 안전성을 제공한다”며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패밀리카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최상의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대자동차그룹 관계자는 “매년 강화되는 IIHS 충돌 평가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의 다수 차종이 우수한 성적을 거둬 매우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안전과 품질을 갖춘 차량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의 충돌 안전성과 충돌 예방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발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