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성전자, 3분기 매출 86.1조 ‘역대 최대’…AI 반도체 호황이 견인
  • 김종화 기자
  • 등록 2025-10-30 10:23:04

기사수정
  • HBM3E·서버 SSD 판매 급증으로 DS부문 분기 최대 실적
  • 폴더블폰 신모델 효과에 DX부문 매출도 11%↑…영업이익 12.2조원
  • 2026년 HBM4·AI 스마트폰·8.6세대 OLED로 미래 성장 본격화

삼성전자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6조1천억 원, 영업이익 12조2천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AI 반도체 수요 폭증과 폴더블 신모델 출시 효과가 실적을 견인했다.

 

삼성전자는 29일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전사 매출이 전 분기 대비 15% 증가한 86.1조 원, 영업이익이 12.2조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29일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하고, 전사 매출이 전 분기 대비 15% 증가한 86.1조 원, 영업이익이 12.2조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와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동반 호조로 이룬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이다.

 

특히 반도체를 담당하는 DS(Device Solutions) 부문은 매출 33.1조 원, 영업이익 7조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9% 성장했다. 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HBM3E와 DDR5, 서버 SSD 판매가 확대되며 분기 최대 메모리 매출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HBM3E는 전 고객 대상 양산 공급 중이며, HBM4 샘플도 모든 고객사에 출하했다”고 밝혔다.

 

시스템LSI 사업은 주요 고객사에 SoC(System on Chip)를 안정적으로 공급했으나, 시장 전반의 재고 조정과 계절적 수요 둔화로 실적은 정체됐다. 반면 파운드리는 첨단공정 중심의 수주가 확대돼 분기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DX(Device eXperience) 부문은 매출 48.4조 원, 영업이익 3.5조 원을 기록했다.

 

모바일(MX) 부문에서는 갤럭시 Z 폴드7의 판매 호조와 플래그십 제품 비중 확대, 태블릿·웨어러블 신제품의 선전으로 두 자릿수 수익성을 유지했다. TV·가전 부문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견조했으나 글로벌 수요 둔화와 관세 영향으로 일부 감소했다.

 

하만(Harman)은 매출 4.0조 원, 영업이익 0.4조 원으로 오디오 제품 판매와 전장 매출이 증가했다. 디스플레이(SDC) 부문은 매출 8.1조 원, 영업이익 1.2조 원을 기록하며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OLED와 QD-OLED 게이밍 모니터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3분기 누계 기준 연구개발비로 26.9조 원을 집행, 역대 최대 규모의 R&D 투자를 이어갔다. 원화 강세로 DS부문에는 소폭 부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DX부문에서 이를 상쇄해 전체 실적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

 

삼성전자는 4분기에도 AI 산업 확산이 DS와 DX부문 모두에 새로운 기회를 열 것으로 전망했다.

 

DS부문은 AI용 HBM3E, 고용량 DDR5, 서버 SSD 판매를 확대하고, 2나노 공정 양산을 본격화한다.

 

DX부문은 연말 성수기에 맞춰 갤럭시 S25와 폴더블 등 AI 스마트폰 판매를 강화하고, 프리미엄 TV와 AI 가전 중심의 매출 확대를 추진한다.

 

하만은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충으로 오디오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SDC는 QD-OLED 신규 라인업을 확대한다.

 

삼성전자는 “2026년은 AI 투자 확대로 반도체 경기 호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HBM4 양산과 AI 반도체 생태계 확장에 집중할 계획이다.

 

메모리 부문은 HBM4와 DDR5, LPDDR5X, GDDR7 등 고성능·고부가 제품 비중을 확대하고,

 

파운드리는 미국 테일러 팹 가동과 2나노 HBM4 베이스다이 양산을 본격화한다.

 

모바일 부문은 차세대 갤럭시 XR과 AI 경험 강화를 통해 갤럭시 생태계를 확장하고,

 

디스플레이는 8.6세대 IT OLED 신규 라인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해 AI 디바이스용 OLED 시장을 선도할 방침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기초질서 무너진 도시…쓰레기 투기·노상방뇨 등 경범죄, 하루 235건 적발 쓰레기 무단투기, 음주소란, 노상방뇨 등 경범죄 적발이 급증하면서 일상 속 기초질서가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하루 평균 235건꼴로 범칙금이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6월) 경범죄 범칙금 부과 건수는 총 24만 4,228건으로, 부과 총액은 1...
  2. 광복 80주년 한글 특별전 ‘말모이’, 베를린서 개막 광복 80주년을 맞아 한글의 역사와 독립운동의 기억을 담은 특별전 ‘말모이’가 베를린에서 막을 올렸다.주독일한국문화원(원장 양상근)은 10일부터 2026년 2월 4일까지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기획한 한글 특별전 ‘말모이’를 베를린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한글을 통해 독립의 기억과 평화의 가치를 ...
  3. 김영진 의원 "먹튀주유소 675억 탈세, 실제 추징은 1% 불과" 먹튀주유소가 최근 5년간 675억 원 규모의 세금을 탈루했지만, 실제 추징된 금액은 6억 7600만 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먹튀주유소는 면세유를 불법 유통한 뒤 세금을 내지 않고 폐업하는 주유소를 뜻한다. 주로 임차 형태의 휴·폐업 주유소를 활용하며, 수 개월간 불법 판매를 벌인 뒤 운영자가 잠적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세무상...
  4. 문진석 의원 “드론은 98대, 인력은 18명… 점검 실적도 뒷걸음” 한국도로공사가 98대의 드론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를 운영할 인력이 18명에 불과해 드론을 활용한 안전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시갑, 국토교통위원회)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총 98대의 드론을 보유하고 있다. 드론은 무게에 따라 2종(7~25k...
  5. 최휘영 장관, 추석 연휴 맞아 경복궁·민속박물관 운영 현장 점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추석 연휴 기간 경복궁과 국립민속박물관을 방문해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돌 한글날이자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9일 서울 경복궁을 찾아 국내·외 관광객 수용 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최 장관은 9일 오전 경복궁을 찾아 광화문, 흥례문, 근정전, 경회루 등을 둘러보며 시설 안전과 서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