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글로벌 달달투어’ 도중 경기도 투자유치 100조 원 고지를 넘어섰다. 지난해부터 이어온 ‘세일즈 외교’의 결실로, 취임 당시 공언한 ‘100조+α 투자유치’ 목표를 8개월 앞당겨 달성했다.
현지시간 27일 오후 미국 보스턴 투자유치 간담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환담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28일(한국 시각) 김동연 지사가 미국 보스턴에서 글로벌 반도체기업 2곳으로부터 1,64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어 28일(현지 시각) 예정된 파라마운트 및 신세계프라퍼티와의 회담을 통해 화성 국제테마파크 사업에 약 5조 원(정확히 5조 79억 원)의 추가 투자도 확보하면서 총 투자유치액은 100조 563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출장 전까지 김 지사의 누적 투자유치 실적은 94조 8,844억 원이었다. 이번 미국 방문에서 세 건의 투자 협약을 통해 5조 1,719억 원을 추가 확보하며 100조 원을 돌파했다. 김 지사는 2022년 취임 이후 20만 6,695㎞, 지구 다섯 바퀴에 달하는 세일즈 외교 여정을 이어오며 글로벌 투자 기반을 다져왔다.
김 지사는 “이번 투자유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경기도가 세계 혁신경제의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며 “첨단산업과 미래 먹거리 중심의 투자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도 경제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100조+α’의 성과는 ▲글로벌기업 유치 31조 원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 40조 원 ▲테크노벨리·산업입지 조성 21조 원 ▲국가R&D·G펀드 등 기술개발 6조 원 등 4대 분야에서 종합적으로 달성됐다. 글로벌기업 투자계획서 기준으로 신규 일자리만 7,000개, 고용유발효과는 약 27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번 보스턴 방문의 첫 성과는 반도체 이온주입 장비 분야 세계 2강 기업 ‘엑셀리스(AXCELIS)’와의 투자협약이다. 엑셀리스는 평택 현곡 외투산단에 아시아 거점 생산기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러셀 로우 CEO는 “김동연 지사의 리더십이 경기도를 혁신산업의 허브로 만들고 있다”며 “이번 투자는 한·미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평택 투자가 아시아 수출 확대의 발판이 되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김 지사는 첨단 반도체 신소재 ‘몰리브덴(Mo)’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기업 인테그리스(Entegris)와 투자협약(MOU)을 체결했다. 인테그리스는 화성과 평택 일대에 세계 최대 규모의 몰리브덴 생산시설을 구축, 미래 반도체 핵심소재 경쟁에서 주도권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이번 투자가 경기도를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이자 차세대 반도체 혁신 전진기지로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28일(현지 시각) 예정된 파라마운트·신세계프라퍼티와의 회담을 통해 화성 국제테마파크 사업비가 기존 4조 5,000억 원에서 9조 5,000억 원으로 증액됐다. 파라마운트의 글로벌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해 ‘미션임파서블’, ‘트랜스포머’, ‘스펀지밥’ 등 인기 콘텐츠를 도입, 아시아 대표 엔터테인먼트 복합테마파크로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 하반기 착공 후 2030년 1차 개장 목표다.
이번 ‘100조+α’ 달성은 경기도가 첨단 제조, 문화관광, 창업생태계 등 다축형 미래산업 구조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동연 지사는 “투자유치는 결코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경기도민의 삶을 바꾸는 일”이라며 “앞으로도 현장에서 뛰며 글로벌 기업과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심장,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