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공단,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탄소중립체험 나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지난 10월 31일(금) 원주시 기후변화 홍보관에서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 행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훈공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원주시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들 20여 명과 △기후변화 홍보관 전시 관람 △미디어 프로그램 △4D 영상 시청 등 탄소중립체험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에게 학업 도움이 될 수
IBK기업은행,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 출시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3일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福) 카드(Blue Ocean navy&marine Car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해군·해병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이다. ‘BOC(福) 카드’는 해군·해병대 복지시설과 군 관사 관리비 결제 시 3%, KTX·주유 7%, 통신비 10% 등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등으로 장기간 카드 이용이 어려운 군 간부를 위해 사전 등록 시 최장 3개월 동안 실적과 무관하게 할인 혜택을 준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택, 화성
예스24, 제복근무자 위한 ‘특별 팝업 전시’ 개최… 감사 편지 이벤트 실시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국가보훈부와 함께 ‘마이 히어로북’ 캠페인을 전개하고, 도서 기부를 연계한 감사 편지 이벤트와 오프라인 팝업 전시를 실시한다.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마이 히어로북’은 예스24 전국 6개 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신간서점 ‘강서NC점’과 중고서점 ‘수영점F1963’에서는 11월 한 달간 특별 팝업 전시가 개최된다. 예스24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복근무자별 대표 도서 5권을 무료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제복근무자
서울시가 노후 저층주거지의 정비를 본격화한다. 시는 10월 16일 제15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를 열어 종로구 구기동, 관악구 난곡동, 동작구 노량진동, 서대문구 홍제동 등 4개 지역의 모아타운 사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총 3,570세대의 모아주택(임대 852세대 포함)이 새롭게 공급될 전망이다.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 관련 사진
서울시는 공공참여를 통해 사업 구역을 확대하고, 높이 규제 완화와 용도지역 상향 등으로 실질적인 사업 추진력을 확보했다. 시 관계자는 “노후 저층주거지의 생활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혁신 모델을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종로구 구기동 100-48번지 일대(63,697㎡)는 모아주택 2개소가 추진돼 기존 415세대에서 382세대 늘어난 총 797세대(임대 214세대 포함)가 공급된다.
노후건축물 비율이 65.7%, 반지하 주택 비율이 68.6%에 달해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한 지역으로, 이번 관리계획을 통해 자연경관지구 높이를 최대 24m, 고도지구 높이를 최대 45m로 완화했다. 용도지역도 제1·2종(7층 이하)에서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된다.
또한 진흥로22길(5m→10m)과 진흥로22나길(4m→8m)을 확폭하고, 보도를 신설해 주민과 상명대학교 학생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한다. 시는 공공참여를 통한 조합 설립 및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지원할 방침이다.
관악구 난곡동 697-20번지 일대(41,569㎡)에는 2개소의 모아주택 단지가 들어서 총 1,056세대(임대 253세대 포함)가 공급된다. 목골산 자락의 우수한 자연환경을 지닌 지역이지만 단차 33m로 사업성이 낮아 정체돼 있던 곳으로, 이번에 공공참여를 통해 사업성이 대폭 개선됐다.
서울시는 용도지역을 상향(제1·2종→제2종)하고, 공원·등산로 진입로 확폭 및 사회복지시설 신설 등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표고와 경사를 고려한 대지 조성계획으로 목골산과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주요 가로변에는 가로 활성화 시설을 배치해 입체적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동작구 노량진동 221-24번지 일대(34,555㎡)는 노량진역 인근의 우수한 입지를 활용해 834세대(임대 192세대 포함)의 모아주택이 공급된다. 최대 40m 단차로 개발이 어려웠던 지역이지만, 공공참여 모아타운으로 사업이 본격화된다.
용도지역은 제2종(7층 이하)에서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되고, 공공청사·공원 등 기반시설이 함께 조성된다. 경사지형을 반영한 지형순응형 단지로 계획되며, 공공보행통로와 통경축을 연계해 개방감을 확보한다. 만양로변 저층부는 도시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됐다.
서대문구 홍제동 322번지 일대(39,442㎡)는 높은 경사지형(표고차 47.02m)으로 주민 주도 개발이 어려웠으나, 공공참여 모아타운으로 883세대(임대 193세대 포함) 공급이 가능해졌다.
용도지역을 제1·2종(7층 이하)에서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하고, 도로와 공원 등 정비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사업구역은 기존 2만㎡에서 4만㎡로 확대됐으며, 임대주택 기부채납 비율은 50%에서 30%로 완화됐다.
또한 모래내로24길을 12m에서 18m로 확폭하고, 공공보행통로(폭 10m)를 신설해 안산 근린공원과 단지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어린이공원은 기존 시설과 연계해 통합형 놀이공간으로 확장된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그동안 높이 규제나 경사지 등으로 개발이 정체됐던 지역이 모아타운을 통해 활기를 되찾게 될 것”이라며 “지역주민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고품질 주거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4개 지역 모아타운 확정을 계기로 공공참여형 소규모 정비사업을 지속 확대해, 2030년까지 약 15만 세대 수준의 저층주거지 주택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