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건설기계, 3분기 영업 이익 558억원… 전년 대비 30% 증가
HD현대건설기계가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9547억원, 영업이익 55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광산(Mining) 장비의 수요 증가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성장과 선진 시장의 실적 개선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지역별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유럽 선진 시장이 수요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 등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유럽의 매출은 32%, 북미는 8% 상승했다. 또
기아 ‘더 기아 PV5’ 카고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
기아는 ‘더 기아 PV5(The Kia PV5, 이하 PV5)’ 카고 모델이 최대 적재중량을 싣고 1회 충전 가장 긴 주행거리인 693.38km를 달성한 전기 경상용차(eLCV, electric Light Commercial Vehicle)로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PV5 카고의 기네스 기록은 기아가 경상용차 부문에서 주행 효율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운 동시에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가다. 송호성 기아
연식 30년 이상 노후 공공임대주택이 최근 5년 새 11배 이상 늘었지만, 이를 정비하기 위한 예산은 오히려 줄어들어 주거복지 사각지대가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경기 광주을 ·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경기 광주을·국토교통위원회)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연식 30년 이상 노후 공공임대주택(건설형)은 13만7,891호로, 2020년(1만1,906호) 대비 11.5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공임대주택에서 노후 공공임대가 차지하는 비율도 같은 기간 1.4%에서 14.3%로 크게 늘었다.
노후 공공임대는 대부분 1980~1990년대 초반에 공급된 영구임대·50년임대 단지로, 전체 119개 단지 중 서울이 15개 단지(2만3,628호)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14개 단지(1만5,992호)로 뒤를 이었다.
입주민 상당수가 고령층과 저소득층인 만큼, 노후화에 따른 주거 불편과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 낡은 배수관과 보일러, 계단 파손, 잦은 승강기 고장 등이 일상화돼 있으며, 일부 단지는 화재·누전 등 안전사고 위험도 높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연도별 `노후 공공임대주택(건설형)` 현황 및 관리ㆍ정비 예산 현황
그러나 정부의 노후 공공임대 관리·정비 예산은 급증하는 노후 주택 수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2022년 4,054억 원이던 관련 예산은 2023년 1,513억 원으로 대폭 삭감된 뒤, 2024년 1,522억 원, 2025년 1,789억 원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세대 내부 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 성능 향상 및 주거환경 개선 사업 예산은 2022년 3,699억 원에서 2025년 1,251억 원으로 줄었고, 외부 공간·시설 개선 예산도 2022년 355억 원에서 올해 538억 원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안태준 의원은 “고령층과 취약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노후 공공임대주택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지만,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미흡하다”며 “정비 지원 단가 현실화와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실질적인 재정 지원·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주거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려면 단순 보수 수준을 넘어 구조적 개선에 나서야 한다”며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위해 노후 공공임대의 체계적 재정비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