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건설기계, 3분기 영업 이익 558억원… 전년 대비 30% 증가
HD현대건설기계가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9547억원, 영업이익 55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광산(Mining) 장비의 수요 증가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성장과 선진 시장의 실적 개선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지역별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유럽 선진 시장이 수요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 등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유럽의 매출은 32%, 북미는 8% 상승했다. 또
기아 ‘더 기아 PV5’ 카고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
기아는 ‘더 기아 PV5(The Kia PV5, 이하 PV5)’ 카고 모델이 최대 적재중량을 싣고 1회 충전 가장 긴 주행거리인 693.38km를 달성한 전기 경상용차(eLCV, electric Light Commercial Vehicle)로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PV5 카고의 기네스 기록은 기아가 경상용차 부문에서 주행 효율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운 동시에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가다. 송호성 기아
현대자동차의 자율주행 수소전기트럭이 미국 타임지 ‘2025 최고의 발명품’에 선정됐다.
9일(현지시간) 미국 상용차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플러스AI(PlusAI)와 협업해 개발한 자율주행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 선정 `2025 최고의 발명품(Best Inventions 2025)`에 올랐다
현대자동차가 자사의 수소전기 대형트럭 엑시언트(XCIENT)에 자율주행 기술을 더한 차량으로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했다.
현대차는 9일(현지시간) 미국 상용차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플러스AI(PlusAI)와 협업해 개발한 자율주행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 선정 ‘2025 최고의 발명품(Best Inventions 2025)’에 올랐다고 밝혔다.
타임지는 지난 20여 년간 삶과 기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발명품을 선정해 매년 ‘최고의 발명품’ 리스트를 발표해왔다. 이번에 이름을 올린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친환경 수소차 기술과 자율주행 시스템을 결합한 미래형 화물 운송 솔루션으로 주목받았다.
해당 차량은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플랫폼에 플러스AI의 레벨 4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슈퍼 드라이브(SuperDrive)’를 결합한 모델이다. 운전자 개입 없이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의 기술이 적용됐으며, 빠른 충전, 긴 주행거리, 무공해라는 수소전기차의 장점에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져 운송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평가다.
현대차는 이 차량을 통해 수소 충전소 인프라 활용성과 경로 기반 운송 최적화까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주요 물류 프로젝트인 ‘노르칼 제로(NorCAL ZERO)’를 비롯해 조지아주 현대차 메타플랜트 등에도 투입돼 실전 테스트를 거쳤다.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은 2020년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 연료전지 중대형 트럭으로 출시된 이후, 누적 주행거리 1,500만km를 돌파하며 친환경성과 기술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자동차 글로벌상용&LCV사업본부장 박철연 전무는 “플러스AI와의 협업을 통해 완성된 자율주행 수소전기트럭이 타임지의 영예로운 발명품 리스트에 오른 것은 지속가능한 운송 생태계를 향한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현대차는 앞으로도 혁신적 기술로 수소 상용차 시장을 선도하고 수소 생태계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플러스AI는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상용차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에 탑재된 ‘슈퍼 드라이브’는 고속도로 기반 자율주행 화물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현대차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북미 시장은 물론 글로벌 무공해 운송 시장에서 자율주행과 수소 기술을 겸비한 상용차 솔루션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