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공단,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탄소중립체험 나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지난 10월 31일(금) 원주시 기후변화 홍보관에서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 행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훈공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원주시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들 20여 명과 △기후변화 홍보관 전시 관람 △미디어 프로그램 △4D 영상 시청 등 탄소중립체험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에게 학업 도움이 될 수
IBK기업은행,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 출시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3일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福) 카드(Blue Ocean navy&marine Car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해군·해병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이다. ‘BOC(福) 카드’는 해군·해병대 복지시설과 군 관사 관리비 결제 시 3%, KTX·주유 7%, 통신비 10% 등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등으로 장기간 카드 이용이 어려운 군 간부를 위해 사전 등록 시 최장 3개월 동안 실적과 무관하게 할인 혜택을 준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택, 화성
예스24, 제복근무자 위한 ‘특별 팝업 전시’ 개최… 감사 편지 이벤트 실시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국가보훈부와 함께 ‘마이 히어로북’ 캠페인을 전개하고, 도서 기부를 연계한 감사 편지 이벤트와 오프라인 팝업 전시를 실시한다.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마이 히어로북’은 예스24 전국 6개 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신간서점 ‘강서NC점’과 중고서점 ‘수영점F1963’에서는 11월 한 달간 특별 팝업 전시가 개최된다. 예스24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복근무자별 대표 도서 5권을 무료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제복근무자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은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6년간(2020년~2025년 8월)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 피해 금액이 약 440억7천만원에 달하며, 피해 건수도 74건에 이른다고 8일 밝혔다. 이 중 11건은 현재 법적 조치가 진행 중이다.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 금융사고는 올해 초 대구 동구 금고의 300억대 민간임대아파트 보증금 사기사건을 비롯해, 6월 대구 북구·서구의 대출금 및 현금 횡령 사건 등으로 그 심각성이 반복적으로 지적돼 왔다.
제재공시 내역을 보면 임직원 위법·부당행위는 지난해 크게 증가했다. 2023년 207명이던 제재공시 대상은 2024년 358명으로 1.7배 급증했다. 올해 8월 기준으로도 이미 123명의 임직원이 제재공시 대상에 포함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57명, 대구 56명, 인천 34명, 광주·전남 34명, 울산·경남 32명 순으로 나타나 수도권과 영남권에서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동일인 대출한도 초과 금액은 2020년 459억5천만원에서 2024년 4,033억4천만원으로 불과 4년 사이 10배 이상 급증했다. 건수는 같은 기간 22건에서 31건으로 늘었으며, 이는 건당 대출 규모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초과대출이 금고의 재무 건전성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2025년 8월 기준 동일인 한도 초과 대출 규모는 약 297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여전히 2021년(184억원)과 2022년(209억원)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한 징계 현황도 같은 기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2020년에는 71명(직원 54명·임원 17명)이 징계받았으나, 2024년에는 138명(직원 101명·임원 37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내부 통제 부실과 함께 금고 내 도덕적 해이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 의원은 “연초부터 새마을금고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 문제가 계속 도마에 올라왔다”며 “부동산 PF 부실과 부당대출 문제를 넘어 직접적인 자금횡령 사건까지 이어지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연말까지 확실한 자구책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와 금융당국은 지난 4월부터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정부합동감사를 실시해 9월까지 총 32개 금고를 점검했으며, 11월까지 체질개선 방안을 마련해 12월 국회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