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공단,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탄소중립체험 나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지난 10월 31일(금) 원주시 기후변화 홍보관에서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 행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훈공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원주시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들 20여 명과 △기후변화 홍보관 전시 관람 △미디어 프로그램 △4D 영상 시청 등 탄소중립체험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에게 학업 도움이 될 수
IBK기업은행,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 출시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3일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福) 카드(Blue Ocean navy&marine Car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해군·해병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이다. ‘BOC(福) 카드’는 해군·해병대 복지시설과 군 관사 관리비 결제 시 3%, KTX·주유 7%, 통신비 10% 등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등으로 장기간 카드 이용이 어려운 군 간부를 위해 사전 등록 시 최장 3개월 동안 실적과 무관하게 할인 혜택을 준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택, 화성
예스24, 제복근무자 위한 ‘특별 팝업 전시’ 개최… 감사 편지 이벤트 실시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국가보훈부와 함께 ‘마이 히어로북’ 캠페인을 전개하고, 도서 기부를 연계한 감사 편지 이벤트와 오프라인 팝업 전시를 실시한다.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마이 히어로북’은 예스24 전국 6개 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신간서점 ‘강서NC점’과 중고서점 ‘수영점F1963’에서는 11월 한 달간 특별 팝업 전시가 개최된다. 예스24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복근무자별 대표 도서 5권을 무료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제복근무자
한국갤럽이 2025년 9월 30일 공개한 ‘마켓70 2025’ 조사에 따르면 전국 만 13세 이상 소비자의 모바일 뱅킹 이용률은 79%에 달했으며, 간편결제와 인터넷전문은행도 절반 이상이 이용하는 등 금융·쇼핑·생활편의·미용 전반에서 모바일 중심 서비스가 일상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13세 이상 소비자 기준 서비스별 연간 이용률
한국갤럽은 올해 3월부터 7월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5,251명을 대상으로 금융·쇼핑·생활편의·미용 관련 서비스 19종의 이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모바일 뱅킹의 연간 이용률은 79%로 PC 뱅킹(42%)을 크게 앞질렀고, 간편결제와 인터넷전문은행 모두 55%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대비 각각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반면 PC 뱅킹, PC 쇼핑, TV홈쇼핑은 소폭 감소하거나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주식 거래는 30%가 경험해 2020년 6%에서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AI 투자 열풍과 금융시장 변화가 최근 확산에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됐다. TV홈쇼핑은 2022년 40%까지 떨어졌으나 올해 49%로 반등하며 독자적 상품 기획과 라이브 커머스 결합 등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는 모습이다.
생활편의 서비스에서는 음식 배달 앱이 연간 64% 이용률을 기록, 20·30대에서는 90%를 넘는 압도적 수치를 보였다. 청소년(13~18세) 중에서도 74%가 최근 1년간 이용 경험이 있다고 답해 배달 앱이 세대를 초월한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줬다. 신선식품 새벽배송은 2020년 7%에서 올해 33%로 급성장했고, 중고물품 거래 앱도 37%가 이용하는 등 생활 전반에서 디지털 플랫폼 기반 소비가 보편화됐다.
만 13세 이상 소비자 기준 서비스별 연간 이용률
택시 앱은 41%가 이용했고, 숙박 공유는 14%, 차량 공유는 9%로 나타났다. 미용 서비스 가운데 네일 케어는 19%, 피부 관리 17%, 두피·탈모 관리는 12%로, 모두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특히 여성의 네일·피부 관리 이용률과 남성의 두피·탈모 관리 경험이 꾸준히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온라인 금융·쇼핑의 성장은 모바일 플랫폼이 주도하고 있으며, 생체인증 보안 기술 확산과 스마트폰의 고도화가 이를 뒷받침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연령별 격차가 여전히 존재해 20~40대에서는 대부분의 서비스 이용률이 80%대를 기록했지만, 60대 이상에서는 모바일 뱅킹과 쇼핑조차 30% 수준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는 면접조사원 인터뷰(CAPI)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4%포인트, 응답률은 31.9%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