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건설기계, 3분기 영업 이익 558억원… 전년 대비 30% 증가
HD현대건설기계가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매출 9547억원, 영업이익 55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광산(Mining) 장비의 수요 증가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성장과 선진 시장의 실적 개선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지역별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30%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유럽 선진 시장이 수요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수익 제품의 판매 확대 등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유럽의 매출은 32%, 북미는 8% 상승했다. 또
기아 ‘더 기아 PV5’ 카고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
기아는 ‘더 기아 PV5(The Kia PV5, 이하 PV5)’ 카고 모델이 최대 적재중량을 싣고 1회 충전 가장 긴 주행거리인 693.38km를 달성한 전기 경상용차(eLCV, electric Light Commercial Vehicle)로 기네스 세계 기록(Guinness World Record)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PV5 카고의 기네스 기록은 기아가 경상용차 부문에서 주행 효율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운 동시에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모빌리티 솔루션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가다. 송호성 기아
서울시가 장애인의 일상 속 불편과 제약을 해소하고 ‘아주 보통의 하루(아보하)’를 보장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내놨다.
한 눈에 보는 장애인 종합계획 (1)
시는 16일 38만 5천여 명의 서울 거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2530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일자리·주거·이동·인권 등 4대 분야 12개 핵심과제를 5년간 추진한다고 밝혔다. 총 투입 예산은 2조 원 규모다.
서울시는 우선 장애인 공공일자리를 현재 연간 5천 개에서 2030년까지 1만 2천 개로 늘리고, 발달·뇌병변 장애인 맞춤형 전문 직업학교를 새로 설립한다.
또한 ICT·로봇 제어, 3D모델링 설계 등 미래 유망산업을 중심으로 한 직무교육을 통해 민간 취업으로 이어지는 사다리 역할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형 개인예산제’ 지원대상은 2030년까지 누적 2,600명으로 확대하고, 저소득 중증장애인 부가급여도 월 4만 원에서 8만 원으로 인상한다.
주거 분야에서는 지원주택을 현재 336가구에서 500가구로 늘리고, 가정형으로 리모델링된 거주시설을 확대한다.
한 눈에 보는 장애인 종합계획 (2)
발달장애인을 위한 ‘40+ 주간이용시설’을 자치구별로 설치하고, 최중증 장애인을 돌보는 고령 가족에게는 월 30만 원을 지급하는 수당을 신설한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장애인 암 조기검진을 도입하고, 만 9세 미만 장애아동에게는 연간 100만 원의 의료비를 지원한다.
이동권 보장을 위해 마을버스는 2030년까지, 시내버스는 2032년까지 전면 저상버스로 전환한다.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UD) 택시 1,000대도 운행하며, AI·로봇 기술을 적용한 클라이밍 휠체어와 보행 보조기기를 보급한다.
또한 소규모 점포 출입구 경사로를 8,000곳에 설치하고, 모든 횡단보도에 음향신호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인권 보호와 여가 확대에도 초점이 맞춰졌다. 장애인 시설 내 중대한 인권침해가 발생하면 즉시 폐지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시행하고, 인권 호루라기단 500명을 운영한다.
생활체육교실은 200곳에서 300곳으로 확대되며, 모든 시립공연장에서 배리어프리 공연이 정례화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땀 흘려 일하고 안심하고 거주하며 자유롭게 이동하고 사회에 참여하는 것은 누군가에겐 당연하지만, 장애인에게는 여전히 도전의 연속이었다”며 “이제는 장애인의 보통의 하루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평범한 일상이 되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